1. 입력 : 외부에서 제공하는 0개 이상의 입력이 존재해야 한다. (입력은 없어도 된다.)
2. 출력 : 1개 이상의 출력이 존재해야 한다.
3. 명백성, 정확성 : 각 명령어의 의미는 모호하지 않고 명확해야 한다. 각 프로세스의 중간단계마다 예상되는 결과가 확실해야 한다.
4. 유한성 : 한정된 수의 명령어가 실행된 후에는 반드시 종료되어야 한다.
5. 유효성 : 각 명령어들은 실행가능한 연산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0으로 나누는 사칙연산처럼 실행불가능해서는 안된다.
(6). 효율성 : 알고리즘은 효율적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대학강의정리 > 22.1 it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장. 자료구조 그래프 (0) | 2022.05.27 |
---|---|
제6장. 자료구조 stack 과que (0) | 2022.05.25 |
제6장. 자료구조 arrary list 과 linked list (0) | 2022.05.24 |
선택 정렬, 삽입 정렬, 버블 정렬 (0) | 2022.05.10 |
선택 정렬 (0) | 202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