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8

240304. 정올 파이썬 리스트3 1. 리스트 생성 1)리스트 내포 [ 요소 for i in range(10) ] 이런 식으로 리스트 내포를 사용해 리스트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list(요소 for i in range(10))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보통 list(range(10)) 형태로 많이 사용합니다. 2) 리스트 연산 리스트는 문자열처럼 곱셈을 이용해 반복되는 요소를 저장하거나 덧셈으로 합칠 수 있습니다. 리스트의 합병과 반복 두개의 리스트를 합칠 때는 연결 연산자인 +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 list1 = [1, 2, 3] >>> list2 = [4, 5. 6] >>> list = list1 + list2 >>> list [1, 2, 3, 4, 5, 6] 리스트를 반복하는 것은 반복 연산자인 * 를 사.. 2024. 3. 7.
240303. 정올 파이썬 리스트2 1. 리스트 생성하고 사용하기 1) 전체 길이를 모르는 리스트 빈 리스트에 인덱스를 이용해 요소를 추가하려 하면 out of range 오류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append 함수는 빈 리스트에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newList = [] newList.append(요소) 정올 파이썬 #9585 ▼ n =[] for i in range(5): n.append(input()) for i in range(5): print(n[i]) 2) 전체길이를 알고 있는 리스트 혹은 수열 newList = list(range(1,16)) newList[인덱스] = 바꿀 요소값 2. 리스트 메소드 1) newList.reverse() 리스트를 역순으로 뒤집어 저장합니다. 리턴값이 none입니다. 파이썬 전체 내장 함수인.. 2024. 3. 4.
24.02.26 정올 문자열 1.''.join(리스트) , '구분자'.join(리스트) join 함수는 매개변수로 들어온 리스트에 있는 요소 하나하나를 합쳐서 하나의 문자열로 바꾸어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join(리스트)를 이용하면 매개변수로 들어온 ['a','b','c'] 이런 식의 리스트를 'abc'의 문자열로 합쳐서 반환해줍니다. 구분자.join(리스트)를 이용하면 리스트의 각 요소 사이에 구분자를 넣어서 하나의 문자열로 return 합니다. 출처: https://blockdmask.tistory.com/468 [개발자 지망생:티스토리] a= input() print(' '.join(a)) '''입력 PYTHON ''' """출력 P Y T H O N """ 2. 문자열 슬라이싱 리스트에서 배웠던 슬라이싱을 문자열에서도 당연.. 2024. 3. 1.
24.02.18 정올 반복제어문 1)for문 for i in range(시작, 끝, 간격): 으로 사용하거나 for i in 리스트: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while문 파이썬에서는 증감연산자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유의해야 합니다. num=1 sum =0 while(num 100: break if num >=80: print('축하합니다. 합격입니다.') else: print('죄송합니다. 불합격입니다.') 4) 리스트나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len()함수 리스트나 문자열의 길이는 반복문을 이용해 구할 수도 있지만 len 함수를 이용해 구하는 것이 가장 간단합니다. len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반복문을 이용해 리스트의 길이를 구하는 예제▼ n= list(map(int,input().split())) sum=0 num=0 fo.. 2024. 2. 24.
24.02.17 정올 파이썬 선택 제어문 1) if elif else 문 반복문처럼 선택제어문을 사용할 때에도 다중 조건문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다중 조건문 대신 논리 연산자를 사용한 예제 ▼ a,b=input().split() b=int(b) if a=='F' and b>=18: print('WOMAN') elif a=='F' and b=18: print('MAN') else: print('BOY') '''입력 F 15 ''' """출력 GIRL """ 2) switch-case 문처럼 쓰는 match-case 문 파이썬 3.10에 match-case 구문이 추가됐습니다. match-case 문은 switch-case문처럼 'switch 공식:case 답: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c++의 switch-case문과 달리 break문을.. 2024. 2. 18.
24.02.16 정올 파이썬 리스트 1) 리스트 생성하기 & 리스트 출력하기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newList = [] 두번째, list()함수 사용하기 newList = list(range(1,16)) range함수를 사용한다면 수열을 간단하게 리스트에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n=int(input()) list1= list(range(n,0,-1)) #range(n,,-1)불가 print(list1) 리스트 전체를 리스트꼴로 출력할때▼ list = ['Salad', 'Pizza', 'Chicken', 'Soup'] print(list) """출력 ['Salad', 'Pizza', 'Chicken', 'Soup'] """ a=input('문자열을 입력하시오: ') b=input('문자열을 입력하시오.. 2024.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