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f elif else 문
반복문처럼 선택제어문을 사용할 때에도 다중 조건문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다중 조건문 대신 논리 연산자를 사용한 예제 ▼
a,b=input().split()
b=int(b)
if a=='F' and b>=18:
print('WOMAN')
elif a=='F' and b<18:
print('GIRL')
elif a=='M' and b>=18:
print('MAN')
else:
print('BOY')
'''입력
F 15
'''
"""출력
GIRL
"""
2) switch-case 문처럼 쓰는 match-case 문
파이썬 3.10에 match-case 구문이 추가됐습니다. match-case 문은 switch-case문처럼 'switch 공식:case 답: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c++의 switch-case문과 달리 break문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출처: 왕초보를 위한 pythonhttps://wikidocs.net/173398
match-case문 예제▼
a=int(input("점수를 입력하세요. "))
match int(a/10):
case 10:
print("A")
case 9:
print("A")
case 8:
print("B")
case 7:
print("C")
case 6:
print("D")
case _:
print("F")
세 수 중 가장 큰 수 구하기 ▼
a,b,c=(input('세 수를 입력하세요. ').split())
a=int(a)
b=int(b)
c=int(c)
d=0
if a>b:
d=a
else:
d=b
if d>c:
print('입력받은 수중 가장 큰 수는 %d입니다.'% d)
else:
print('입력받은 수중 가장 큰 수는 %d입니다.'% c)
'''입력
세 수를 입력하세요. 1 5 4
'''
"""출력
입력받은 수중 가장 큰 수는 5입니다.
"""
3) 삼항 연산자
print(참값 if 조건 else 거짓값)
print(참값) if 조건 else print(거짓값)
a,b = map(int,(input()).split())
print(a if a>b else b)
'''입력
89 100
'''
"""출력
100
"""
'프로그래밍 언어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미만의 홀수만 출력 (0) | 2024.02.24 |
---|---|
24.02.18 정올 반복제어문 (1) | 2024.02.24 |
24.02.16 정올 파이썬 리스트 (1) | 2024.02.17 |
240211. 정올 파이썬 문자열 문제 (0) | 2024.02.11 |
240209. 정올 파이썬 연산자 문제 (0) | 202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