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63 5장. 02 inline, internal, external html의 스타일을 지정하는 방법에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1. inline 2. internal 3. external 1. inline Inline CSS 는 태그 내부에서 style 을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in a line의 줄임말로 style의 변경 및 유지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습니다. This is a heading This is a paragraph. 2. internal internal CSS는 style태그로 style을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style태그는 주로 head태그 안에 위치합니다. internal CSS는 html 파일 내부에서 style을 지정한다는 점에서 inline 방식과 같지만, inline 방식처럼 태그 내부의 style 속성을 사용하지 않고 style태그를 .. 2022. 5. 20. section2. Big O notation 4. big o 소개 big o 표기법의 필요성 big o 표기법이란 big o 표기법의 표현법 시간 복잡도와 공갑 복잡도의 정의 big o 표기법을 통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 표현하기 로그란 무엇인가 -big o 표기법이란 big o 표기법이란 여러 코드를 서로 비교하고 각각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big o 표기법을 이용하면 코드의 성능을 숫자로 표기할 수 있고 그것을 통해 코드를 쉽게 분류할 수 있다. -big o 표기법을 사용하는 이유(상세) 우리는 프로그램을 만들때 그 프로그램에 가장 최적화된 코드를 사용해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코드를 분류하고 그 중에서 가장 좋은 코드를 찾아야 한다. 그래서 프로그래머는 자신이 만든 해결책이 만족스럽더라도 다른 해결책과 성능을 비교해보아야.. 2022. 5. 16. section1 section1 1. 커리큘럼 소개 모든 섹션을 순서대로 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섹션마다 그 섹션을 듣기 전에 반드시 들어야 할 강의가 있으므로 그 섹션을 보기 전 선수학습에 표기된 강의를 먼저 듣고 듣는 것을 추천한다. curriculum walkthrough big o notation analyzing performance of arrays and objects problem solving approach problem solving patterns recursion bubble sort selection sort insertion sort merge sort quick sort radix sort intor to data structures singly linked lists doubly link.. 2022. 5. 16. 2. github desktop으로 push하기 / 이미 만들어진 원격 저장소에 push하기 Git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것은 프로젝트를 최초시작할때와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경우 두가지로 나누어집니다. 프로젝트를 최초 시작할때에는 내 로컬에 Git 저장소를 만들어 작업하다가 원격 저장소를 만들고 작업 내역을 업로드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이미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참여할때에는 이미 만들어진 원격저장소를 내 로컬 PC의 Git 저장소로 복사(Clone) 해야 합니다. 저번 포스팅(https://turtle0204.tistory.com/41)에서 저장소를 만들어서 push 한것과 달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미 만들어진 원격 저장소에 github desktop이라는 gui프로그램에서 push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깃허브 데스크탑 설치하기 https://m.blog.naver.co.. 2022. 5. 12. 1. git bash 로 push하기 1. 깃허브에 회원가입한다. 2. Git를 설치한다.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오. https://taewow.tistory.com/13 [GITHUB 입문] Git 설치하기(2.35.1 이상, 상세한 설치법) [GITHUB 입문] 깃허브 사용법 - 2 Git 설치하기 Git과 GitHub에 관해 다룬 이전 글([GITHUB 입문] Git과 GitHub의 차이)을 작성하다 보니 한 가지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독자가 Git을 설치하여 직접 따라 하면 taewow.tistory.com git bash로 업로드 하기 1. git bash 클릭 2. cd와 pwd 명령어를 이용해 올리고자 하는 파일 위치로 이동한다. cd, pwd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의 접은글을 펼쳐보라. 더보기 pwd : Print Workin.. 2022. 5. 12. 선택 정렬, 삽입 정렬, 버블 정렬 1. 선택정렬 선택정렬은 가장 왼쪽값을 min으로 저장하고 min의 다음에 있는 모든 값과 비교합니다. 왼쪽부터 정렬됩니다. --> inner loop 1 2 3 4 5 1 2 3 4 5 . . . 1과 2 비교 2와 3 비교 1과 3 비교 2와 4 비교 1과 4 비교 2와 5 비교 1과 5 비교 outer loop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정렬된(최종위치가 확정된) 값들은 노란색으로 표시했다. 2. 버블정렬 버블 정렬은 두 값을 비교해서 큰 숫자를 오른쪽으로 보냅니다. 오른쪽부터 정렬됩니다. inner loop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outer loop 1 2 3 4 5 1 2 3 4 5 1.. 2022. 5. 10.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