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강의정리/22.1 it개론8 선택 정렬 1. selection sort 선택 정렬 :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서 가장 앞의 데이터와 swap하는 방식이다. 실제로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것에 따라 달라지지만 왼쪽부터 정렬되는 것을 기본으로 생각하자. arr[0]을 최소값으로 설정 arr[1], arr[2], arr[3], arr[4]과 비교 arr[0]보다 작은 값이 있으면 최소값으로 설정 최소값을 arr[2], arr[3], arr[4]과 비교 최소값으로 설정된 값보다 작은 값이 있으면 최소값이 바뀜 실습 1. 제일 작은 숫자를 찾기 위해 순차적으로 이동 2. outer loop가 한번 돌때마다 element 하나의 최종위치가 확정된다. (확정된 요소 다음 요소들만큼 inner loop가 돌 때마다 element .. 2022. 5. 10. 알고리즘의 조건 1. 입력 : 외부에서 제공하는 0개 이상의 입력이 존재해야 한다. (입력은 없어도 된다.) 2. 출력 : 1개 이상의 출력이 존재해야 한다. 3. 명백성, 정확성 : 각 명령어의 의미는 모호하지 않고 명확해야 한다. 각 프로세스의 중간단계마다 예상되는 결과가 확실해야 한다. 4. 유한성 : 한정된 수의 명령어가 실행된 후에는 반드시 종료되어야 한다. 5. 유효성 : 각 명령어들은 실행가능한 연산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0으로 나누는 사칙연산처럼 실행불가능해서는 안된다. (6). 효율성 : 알고리즘은 효율적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2022. 5. 9. 이전 1 2 다음